Your Partner Professional Labor Office!
노무법인 이산은 최고 수준의 노무사들이 전문성있는 체계적인 서비스를 고객 여러분께 제공합니다.
뇌혈관질환 또는 심장질환
물리적인 인자로 인한 질병
이상기압으로 인한 질병
소음성 난청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질병
진동장해
요통
화학물질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염화비닐로 인한 증상 또는 그 속발증
타르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망간 또는 그 화합물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연/연합금 또는 그 화합물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수은/아말감 또는 그 화합물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크롬 또는 그 화합물에 의한 중독증 또는 그 속발증
카드뮴 또는 중크롬산과 그 염에 폭로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경력이 있는 근로자에게 나타나는 원발성 폐암 또는 비강/부비강/후두의 원발성암
벤젠으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지방족 및 방향족 화합물 중 유기용제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이황화탄소로 인한 중독 또는 그 속발증
직업성 조혈기계질환
직업과 관련하여 백혈병을 유발시킬 대표적인 유해물질로는 유기용제 '벤젠'으로 현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업무상 재해 인정기준에서는 1ppm 이상의 농도에 10년이상 노출된 근로자에게 백혈병이나 재생불량성 빈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노출기간이 10년 미만이더라고 누적 노출량이 10ppm 이상인 경우나 과거 노출력에 대한 기록이 불분명하여 현재의 노출농도를 기준으로 10년이상 누적 노출향이 1ppm 이상인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직업성 신경질환
납은 현재 자동차 배터리, 안료, 도료, 플라스틱 제조나 전자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수은의 경우에는 현재 형광등, 온도계, 정밀기계 측정, 아말감 등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망간의 경우에는 마모성이 강한 특성 때문에 철강제조나 합금제조 등에 투여되고 있으며 용접작업에서도 용접봉에 망간을 섞어 사용하느 관계로 용접작업 수행시 망간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망간 건전지 제조과정의 근로자들도 노출될 개연성이 있습니다.
카드뮴의 경우에는 제련, 전기도금, 건전지 제조 및 재생, 합금, 페인트 제조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밖에 접착제, 도료, 신너, 세척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제(대표적인 유기용제로는 '톨루엔'이 있습니다.) 등이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를 마비시키는 유해인자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독성간염
현재 간독성 화학물질로 인정되고 있는 것으로는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화합물, 인조피역 제조 및 폴리우레탄 코팅과 스판덱스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인정되고 있으며 디메틸포름아미드의 대체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도 간독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직업성 감염질환
병원 근로자에게서 관찰되는 직업성 감염성질환으로는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간염, 녹농균감염, 메티실린저항 포도상구균감염 등이 자주 관찰되고 있으며, 야외작업자에서는 쯔쯔가무시병, 유행성출혈열 및 랩토스피라증 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밖에 해외출장자에게는 말라리아, 살모넬라 감염 및 댕기열 등이 보고 되고 있으며 드물게 바이러스성 심근막염 및 패혈증이 보고된바도 있습니다.
직업성 천식
천식이란 기관지를 싸고 있는 근육에 과민반응이 와서 과도하게 좁아지므로 숨을 내쉬기 어려워 천명이 생기고, 호흡에 곤란을 느끼는 질병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직업성천식으로 보고된 경우는 폴리우레탄 도장공장에서 1978년도에 발생보고가 된 이후 다양한 원인물질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천식의 유발물질로는 동물털, 해산물, 농산물, 화학물, 약제 등 고분자물지로부터 목분진, 천연고무, 화학물질, 약제, 금속 등 저분자물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관계로 천식이 발생된 근로자가 근무한 사업장에서 업무와 관련된 물질이 천식을 유발하였다고 인정이 되는 경우에는 직업성 천식으로 인정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